퇴직연금은 은퇴 후의 삶을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중요한 금융 수단으로 수익률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물가 상승으로 인해 자산의 실질가치가 하락할 위험이 있습니다.
투자상품 비중 확대
한국의 퇴직연금 수익률이 주요 선진국 대비 낮다고요? 그 주된 이유는 투자상품 비중이 낮고, 예금 등 원리금보장상품 비중이 너무 높기 때문이에요.
장기투자가 필수인 연금 투자에 있어서 투자상품을 활용한 글로벌 분산투자 수익률은 예금 등 원리금보장상품 수익률 보다 장기적으로 높을 가능성이 커요.
하나은행이 선별한 양질의 투자상품 비중을 확대해 보세요.
한국·일본 원리금보장상품 비중 약 85%↓수익률 2% 초반
호주·미국 원리금보장상품 비중 10% 미만↓수익률 8% 상회
높은 예금 비중 → 낮은 장기(10년 평균) 수익률
높은 예금 비중은 낮은 장기 수익률로 연결됩니다.
한국의 DC와 IRP 투자비중 및 수익률
DC – 원리금보장형 및 원리금비보장형의 비중은 약 8 대 2이며, 10년 평균 수익률은 약 2%
IRP – 원리금보장형 및 원리금비보장형의 비중은 약 7 대 3 이며, 10년 평균 수익률은 약 2%
일본의 DC 투자비중 및 수익률
DC – 원리금보장형 및 원리금비보장형의 비중은 약 7.5 대 2.5이며, 10년 평균 수익률은 약 2%
호주 My Super 투자비중 및 수익률
My Super – 원리금보장형 및 원리금비보장형의 비중은 약 1 대 9이며, 10년 평균 수익률은 약 8%
미국 401K 투자비중 및 수익률
401K– 원리금보장형 및 원리금비보장형의 비중은 약 0.5 대 9.5이며, 10년 평균 수익률은 약 9%
정기적 관점의 투자
72법칙을 아세요? 원금의 2배를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는 공식이에요. 수익률로 72를 나누면 원금이 2배가 되는 시간이 계산되요.
예시) 3% 예금 수익률로 투자 시 투자원금의 2배가 되는 시간 약 24년, S&P500 과거 10년 평균 수익률인 8%로 투자 시 투자원금의 2배가 되는 시간 9년
어차피 장기투자인 연금. 적절한 투자상품 투자로 장기 수익률을 높여보아요.
원금의 2배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
72의 법칙 : 원금의 2배를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이나 수익률 계산 공식(72÷수익률)
72의 법칙 – 연복리로 원금의 2배까지 걸리는 시간
수익률 1%의 경우 69.7년, 수익률 2%의 경우 35년, 수익률 3%의 경우 23.4년, 수익률 4%의 경우 17.7년, 수익률 5%의 경우 14.2년, 수익률 6%의 경우 11.9년, 수익률 7%의 경우 10.2년, 수익률 8%의 경우 9.2년, 수익률 9%의 경우 8년, 수익률 10%의 경우 73년
출처 - 미래에셋은퇴연구소
글로벌 분산투자 시뮬레이션을 살펴볼까요?
한 섹터(업종), 한 국가에 너무 치우친 투자는 변동성이 커 위험할 수 있어요.
글로벌 분산투자를 한다면 변동성(위험)을 낮추고 예금보다는 높은 장기 수익률을 거둘 수 있어요.
분산투자와 리스크의 상관관계
분산투자와 리스트의 상관관계 그래프 설명
투자비중이 특정 자산에 편중될수록 투자위험은 커지며, 고위험 상품 위주로 구성될수록 위험은 더욱 증가함
분산투자를 통해 투자 위험이 낮아지며, 가장 잘 분산된 포트폴로오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됨
리스크통제의 대표적인 수단 글로벌 분산투자
↓분산투자의 힘은 리스크 관리
분산투자는 소수의 자산으로 구성된 집중투자와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상관관계가 적은 여러 시장, 자산군 등에 분산하여 투자함으로써 리스크를 줄이는 투자 방법 ‘총 리스크 = 체계적 리스크(고정) + 비체계적 리스크’
투자 추이
단위 : %
MSCI AC World Index, KOSPI, 글로벌 채권 지수, 한국채권 지수, 분산투자 Portfolio (으)로 이루어진 투자추이 테이블입니다.